2010년 3월 11일 목요일

Suiseki glossary of Korean 수석용어

바다 Bada. Sea (see also hae).

바다돌 Badadol. Stones found along the sea or along beaches. (See also haeseok.)

배 Bae. Oriental pear.

바위경석 Bawigyeongseok. This is a stone that resembles a rock on a mountain or at the seaside.

처마석 Cheomaseok. A stone with a shelter or overhang as a major viewing point.

추상석 Chusangseok.

대품석 Daepumseok. Daepum means big. This is a large stone more than 45 cm in size.

대좌 Daejwa. Carved wood stand for display of suseok. Also called Jwadae.

단봉산석 Danbongsanseok. A single peak mountain stone.

단석 Danseok. This is a step stone, or a stone usually having two or more level plains.

물고임석 Mulgoimseok. This is a pond stone. It has a relatively small depression surrounded by small scale scenery. (See also hosooseok.)

돌 Dol. Stone (see also seok).

도경석 Dogyeongseok (Sumhyungseok). A stone that resembles an island.

동굴형석 Donggulhyeongseok. A stone that has a cave as a major point of interest.

동물형석 Dongmulhyeongseok. A stone that resembles an animal.

가공석 Gagongseok. Stones that have artificial modification such as cutting the bottom or surface grinding to enhance hwamoonseok (flower-patterned) stones. Goeseok. A stone that is curious or grotesque. Similar to original
Chinese stones with multiple perforations or creases.

골 Gol. Bone (see also pia).

골석 Golseok. Stones resembling animal bones. (See also piadol).

구갑석 Gugapseok. Stones with white inclusions covering the surface with regular intervals between lines. Resemble a turtle's shell.

하천 Hacheon. River (see also kaang).

하천석 Hacheonseok. River stone. Stones found in rivers. (See also kaangdol.)

해 Hae. Sea (see also bada).

해석 Haeseok. Stones found along the sea or along beaches. (See also badadol.)

호수석 Hosuseok. This suseok resembles a lake and should have a relatively large depression surrounded by large scale scenery. (See also dhamhyungseok.)

화문석 Hwamunseok. A stone with inclusions or pattern resembling flowers.

형상석 Hyeongsangseok. A category of suseok with shapes that resemble living creatures. It has two sub-categories; stones resembling human beings and stones resembling animals.

인물형석 Inmulhyeongseok. A stone that resembles human forms such as Buddha.

집형석 Jipyeongseok. This is a house-shaped stone.

강 Gang. River (see also hachun).

강돌 Gangdol. River stone. Stones found in rivers. (See also hachunseok.)

가석 Gaseok. A stone of high beauty or quality.

군산석 Gunsanseok. These stones look like close views of mountains. They are often a lighter color than wonsanseok.

굽질 Gupjil. Surface or skin. (See also pibu.)

관통석 Gwantongseok. A stone with one or more tunnels as a major viewing point.

금호강 Geumhogang. A river in Korea. The Geumho river comes from a small stream in Zirisan (a famous mountain for sanseok).

경석 Gyeongseok. A primary classification category for Korean stones. "Kyung" means natural scenery and "seok" means stone. Such stones resemble natural things such as mountains, islands, etc.

무뉘석 Munwiseok. A category of suseok that includes patterns or inclusions resembling paintings, flowers, calligraphy, etc.

문자석 Munjaseok. A stone with inclusions resembling Korean or Chinese calligraphic characters.

미석 Miseok. Beautiful stone.

명석 Myeongseok. Masterpiece stone.

남한강 Namhankaang. A river in Korea. The Namhan river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famous collecting site in the country. Namhankaangdol. Suseok found in and around the Namhan river.

옹달석 Ongdalsaem. A stone that resembles a small spring found on mountain sides.

피아 Pia. Bone (see also gol).

피아돌 Piadol. Stones resembling animal bones. (See also golseok).

피부 Pibu. Skin or surface. (See also kupzil.)

피두돌 Pibudol. Stone with a very special surface as a major viewing point.

폭포석 Pokposeok. This is a stone that has inclusions or white resembling a waterfall.

표준석 Pyojunseok. Pyozun means standard. This is a standard stone between 15 to 45 cm in size.

평원석 Pyeongwonseok. Plains stone. This stone displays a level plain with a mountain or hill on the far side of the view. (See also topaseok.)

산 San. Mountain.

산경석 Sangyeongseok. Mountain view stone. There are two sub-categories; number of peaks and viewing distance.

산석 Sanseok. Stones found in and around mountains.

석 Seok. Stone (see also dol).

쌍봉 SSangbong-sanseok. A double-peak or two mountain stone.

실크석 Silkeuseok. Decorative stone. Stone that serves primarily for "visual adornment". Sometimes the ornamental effect is enhanced by carving flower designs into its surface.

신석 Shinseoks, 햇돌 Haetdol. Young stones (those newly collected). (See yangseok.)

소품석 Sopumseok. Sopum means small. This is a small stone less than 15 cm in size.

수반 Suban. Ceramic container filled with sand or water for natural display of suseok.

수석 Suseok. Natural stone. A stone appreciated for its intrinsic value. Used to view or for meditation. Literally "su" means long-life and "seok" means stone. Therefore, suseok means long-lived stone.

태화강 Taewhakang. The Taewha river. Crosses the city of Ulsan. Famous for green-colored stones.

토파석 Topaseok. This is a stone that has a small plain close to one or more mountains. (See also pyunwonseok.) Whadae. A base used for formal display of suseok, under the daezwa or suban.

원산석 Wonsanseok. Distant mountain view. These are usually very dark stones.

양 Yang. Nurturing.

양석 Yangseok. Nourishment of a young stone to make it look older by watering, hand-rubbing, and exposure to the sun.

용석 Yongseok. Oriental dragon stone.

원산석 Wonsanseok. Mountain range stone. A stone in this category has more than three mountain peaks and resembles a series of mountains.

자연석 Jayeonseok. Things that are natural or in their natural condition. In Korea, only zayunseok can possibly be candidates for suseoks.

지리산 Jirisan. A mountain in Korea famous for sanseok.

정원석 Jeongwonseok. Since zungwon means garden, a zungwonseok is a garden stone. Generally larger than one person can carry in both hands.

좌대 Jwadae. Carved wood stand for display of suseok. Also called Daejwa.


가공석(加工石)
자연석에 인공을 더하여 절단하거나 혹은 형태를 조작한돌.

가결석(可缺石)
주로 강변에서 돌의 일부가 자연의 충격 작용에 의해서 깨어진 돌

괴석(怪石)
기괴한 모양으로 생긴 돌의 의미를 말한다. 옛날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수석용어로 괴석이라하였다.

기석(奇石)
돌의 형상이 기이하게 생긴 돌 혹은 석질이 흔 히 볼수 없는 것을 기석 또는 진석이라고도 한다

귀석(貴石)
보석으로 가치있는 광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돌 을 말한다. 경도 7도 이상의 다 이아몬드, 에메랄드, 사파이어, 루비, 켓츠아이, 오팔, 수정등 가치 판단의 점에서는 수석과 범주를 달리한다. 국화석(蘭花石)은 고생대의 휘록응회암(輝綠擬灰岩) “샬르스타인”중에 국화변상이 백색의 방해석 혹은 담홍색의 고회색(苦灰色}을 나타낸것이며, 드물게는옥수와 오팔의 화변도 있다.

구갑석(龜甲石)
니질(泥質)의 태석암 중의 단괴(團塊)즉 니회구(泥灰球)라하는 니회암(泥灰岩)이 생성 후 방패되어 벌어지면서 그 벌어진 틈 속으로 방해석이 분비되어 훌륭한 구감문리 (龜感紋理)를 나타낸다. 규화목(珪化木)에는 화석이 된 수목, 규산(珪酸)과 탄산석회(炭酸石灰)등의 광물이 침투하여 원래의 질을 바꾸어 생긴 장합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 옥수(玉髓)와 매노화 되는것도 있다. 수석으로 관상하지 않는다.

검산형(劍山形)
산형의 일부로 원산형에 비하여 산새가 높고 험하게 삐죽삐죽 생긴 돌을 말한다.

경도(硬度)
보통 경도라고 하면 모오스(Mohs') 경도계(硬度計)에 따라 다이아몬드 10도를 최고로 하여 활석(滑石)1도까지 광물의 굳기별과 계열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다이아몬드 10도 (최고경도)
강옥(鋼玉) 9도 (가라스가 끊긴다)
토파즈 8도 (쇠줄로 밀어도 그어지지 않는다)
수정(水晶) 7도 (쇠줄에 흠이 난다)
정장석(正長石) 6도 (쇠줄에 그어진다)
린회석(憐灰石) 5도 (유리창과 같다)
형석(螢石) 4도 (나이프에 흠이 난다)
방해석(方解石) 3도 (나이프에 그어진다)
석고(石膏) 2도 (손톱에 흠이 생긴다)
활석(滑石) 1도 (손톱에 쉽게 깨어진다) 이상과 같이 수석의 모체인 암석은 많은 광물질의 집합체로서 불균질(不均質)이므로 전기와 경도의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서는 안 된다. 다만 극히 일반적으로 논하면 수석은 물론 난약한 돌보다 여문돌일수록 좋겠지만 수석조건은 경도 4도부터 7도 정도가 적합하다.

고봉석(孤峰石)
산형 가운데 고립된 단봉의 형태

고색(古色)
오랜 세월에 양석한 돌삼갗을 말한다.

경석(景石)
산, 물, 돌이 합치는 자연산수경을 의미한다.

도형(島形)
호수상에서나 해상에 떠 있는 섬의 경정을 방불케 하는 돌형태의 태호석(太湖퍼). 이른바 중국 고대 당나라시대의 당석(康石)이라 하여 대표적인 돌 중 하나다. 정원석으로 혹은 책상 위에 안치하여 옛부터 문인묵객들이 애호한 기괴석(奇怪石)이다. 산지는 강소(江蘇)절강성 두 군데에 걸쳐진 태호강이다. 호수밑에 채석되어 인공적으로 가공한 것이 많고 석회질의 응회암으로 추정된다.

단석(段石)
두개 이상의 계단을 가진돌. 낮은 것은 단귀(段丘)를 나타내고, 높은 것은 단애 (段崖)로 낭떠러지의 경을 연상하게 한다.

돌의 사칙(四則)
중국 북송대의 문인 미원장이 돌에 대하여 제창한 설. 즉 명석은 네가지 빼어난 것이 갖추어 있어야 한다는 것인데 투(透) 준( ) 수(秀) 수(瘦)의 사칙이다. 투(透)는 구멍이 뚫어져 있고, 준( )은 석면의 주름이 한결같이 펴져 있어야 하고, 수(秀)는 격조 높은 기품을 풍겨야 하며 그리고 수(瘦)는 돌의 살이 여위어져 있고 그러면서도 강한 선을 지닌 것이어야 한다고 했다. 이것은 중국의 당대(康代)에 태호석을 기준으로 하는 기호의 일례다. 그러나 수석에 통용되는 원칙으로 삼고 있다.

마석(磨石)
주로 돌을 닦아서 만든 돌. 미석 계통.

미석(美石)
수석 진석(珍石)과 같이 실내 관상석의 삼대분야의 하나이며 주로 연마하여 색채와문양의 미를 관상하는 돌이다. 수석은 진석과 같이 조형·가공하는 것은 금물이나 미석의 세계에서는 이를 허용한다.

미점(米点)
원래는 남화(南畵)의 묘법상(描法上)용어이나 수석관상에도 사용된다. 다수의 쌀알 크기의 작은 구멍이 곰보처럼 되어있는 상태의 석면을 말한다.

문자석(文字石)
문양석의 일태로 천연석면에 문자의 문리(紋理)가 새겨져 있는 돌을 말한다. 주로 석회나 석영의 작용에서 이루어진다.

문양석(紋樣石)
문석이라고도함. 석면에 꽃, 구름, 나비, 짐승, 문자 등이 천연적으로나타나는돌. 매화석, 국화석도 그 하나다. 분류하여 화문석, 월석, 운석, 조류석, 문자석 기타 총괄한 명칭.

마제석(馬蹄石)
탄산석회분을 함축한 점판암질(粘板岩質)의 암석인데 표면이 토중에 있을 때 쿠엔산등에 의하여 요돌이 되어 그것이 하상에 흘러간 후 유수나 잔모래에 씻겨 깊게 파져서 그 구멍이 흡사 말다갈과 같이 보인다. 일명 다갈석이라고 한다.

명석(名石)
관상가치가 높은 돌. 종래부터 명석이란 돌의 4원칙[투(透) 준( ) 수(秀) 수(瘦)]에 해당되는 돌을 명석이라 했다. 또는 3요소 즉 형 질 색에 있어서 특히 빼어난 돌이라야 명석이라 했다. 또한 고태미의 시대성과 더불어 기품이 넘치는 아취가 겸비되어야 한다. 까다로운 조건이 많아 사실 명석은 그리 많치가 않다. 일생일석은 명석을 두고 말하는 것이다.

명(銘)
애석에 대한 이름을 일반적으로 이렇게 말한다. 그러나 이 어원(語源)은 고대 중국에 있어서 문체의 일종이다. 즉, 은(殷) 주(周)시대부터 무엇을 기념하기 위하여 만든 동기에 원칙으로 운문(韻文)으로 그 사건의 기록과 또는 사람의 공적을 찬양하여 새긴 것이다. 그것은 운법 구법(句法)과 같이 일정되어 있어 일구사언(一句四言)으로 지어 그 문체를 명(銘)이라 했다. 후세에 이르러 반드시 동기에서만 아니라 돌에다가 혹은“좌우의명”(座右銘)같은 기물에 새겨지기도 했다. 수석의 명의 경우를 생각해 본다면, 이상적으로 말하자면 그것이 비장(秘臟)함에 있어서 명석다운 가치성 혹은 전래석의 경우 반드시 석명(石銘) 을 붙이는 것이 옳을 줄 안다. 그러나 관상하는 보조 수단으로서 연상(連想)하는 상응(相應)한 이미지가 필수적 요건이 된다.

면(面)
수석의 미적 요소의 하나로 면을 중요시한다. 특히 추상적인 미를 지닌 수석에 있어서는 등한시 할 수 없는 것이 면의 존재다. 그것을 구성하는 몇 가지 면의“콘토락트”의 아름다움등 두가지 이상의 면이 변화와 조화에 따라 상호 서로 맞서는 힘의 융화가 "면"의 포인트가 된다.

분석(盆石)
백제시대(622년) 권륵(勸勒)이란 승려가 수이꼬천황(推古天皇) 20년에 박산향로 (博山香爐)와 영산석(靈山石)을 헌납한 것이 일본에서의 분석의 효시라고 한다. 일본 분석계에서 오랜 전통을 이어받고 있는 호소가와류(細川流)가 그것이다. 일본수석의 조형인 것이다. 그러나 수 개의 돌과 모래를 이용하여 분상에 놓고 관상한다. 石州流, 遠山流등이 있다.

생석(生石)
가공하지 않는 천연석, 수석은 생석을 원칙으로 한다.

사권석
회갈색지(灰褐色地)에 희고 엷은 맥(脈)을 종횡으로 실로 감은돌. 모암은 사암(砂岩)이고 맥은 그 금난쪽으로 생긴 석영의 분비맥이다.

산수경석
수석의 주류인 이 돌은 산수의 정경을 표현한 아취 높은돌.

삼면법(三面法)
문인화의 교전(敎典)인 개자원화전(芥子園畵典)에서 나온 말. 명석은 전후, 좌우, 밑바닥 삼면이 균형있게 조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설.

삼요소(三要素)
옛부터 명석의 세 가지 요소. 즉 형과 질과 색으로 명석다운 형태를 지니고 질은 견고하며, 그에 따른 색이 경박하지 않으며, 장중한 중량감을 갖추어야한다고 여겨져 오고있다.

색채석(色彩石)
채석이 아름다운 것을 제일로 삼는 돌. 형은 제이로 삼으며 수석의 경우에서는 색채석은 역시 형태를 고루 갖추어야 한다. 연마하여 미석으로 간주된다

시대(時代)
이른바 오랫동안 연대에 걸쳐 소장한 돌을 시대성이라 한다. 고태미(古態美)를 혹은 고색(古色)을 찬양하는 수석 세계의 독특한 용어.

사석(死石)
약제를 사용하여 살갗이 변색된 돌. 겨울 혹한 에 수반에 물이 담겨 얼어붙어 금이 나간 돌.

수류(水溜)
움푹 파진 곳에 물이 고인 것. 호수석, 천수형(泉水形)등을 말한다.

산석(山石)
산중에 흙밑에서 채석한 돌을 산석이라 한다. 토중석이라고도 한다.

수마(水廳)
돌의 살갗이 장구한 세월에 물과 모래 따위의 전석작용에 의하여 매끈하게 된 돌의 자태.

유석(油石)
기름 돌이라고 한다. 유성분을 바르지 않고도 풍윤한 광택을 내는 돌.

우피(雨避)
낭떠러지인듯 바위 끝이 돌출한 모양의 돌 형태. 소낙비에 잠시 폼을 피하게 생긴 돌.(일어:가부리)

암사
암초의 경정을 방불케 하는 돌. 갯바위의 일종.

음양석(陰陽石)
수석취미와 별도로 그 옛날부터 서민간에 애완되어 음석은 여음, 양석은 남근의 형으로 진석된다. 한 쌍을 오동나무 상자에 넣어 귀중하게 보존한 사람도 있다. 신앙상의 의미도 있을 것이다.

응결도(凝結度)
수석의 질을 비판할 때 쓰이는 말. 그 돌을 구성 하는 각종의 광물이 결합되어 치밀하고 비중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오조건(五條件)
수석미를 구성하는데 다섯가지의 조건으로 형, 질, 색, 살갗, 아취(雅趣)를 들 수 있다. 형, 질, 색은 종래부터 삼요소로 지칭되어 왔으나, 여기에 살갖과 아취가 더하게 된다. 살갗은 석면에 대자연이 무심히 새겨진 예술의 멋과 아취의 기품과 풍운(風龍)이 깃들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앉임새
돌의 밑바닥이 자연스럽게 수반과 지판에 딱 맞춰진 돌의 하부를 말할 때 이 말을 쓴다. 수석의 조건 중에 앉임새가 중요시 된다.

원산형
먼 산맥을 쳐다보는 경정의 산형 수석의 기본형이다.

유래석(由來石)
전래석이라고도 함. 오랜 역사를 가진 전설과 일화를 남긴 돌. 유서와 내역을 갖춘 관상석을 말한다. 신빙성이 있고 명석이 많다.

양석(養石)
주로 자연석을 수반에 넣어 적도하게 햇빛에 쪼이고 또한 건조 역시 적도로 되도록 물을 자주 뿌린 결과 자연히 돌에 고태미가 생긴다. 옥외에서 양석시는 돌 하부를 위로하고 본면은 거꾸로 아래로 햇빛과 비바람을 맞게한다. 돌에 이끼를 내고자 할 때는 마분(말똥)을 건조시켜 풀과 함께 이끼를 심으면 된다.

용안석(龍眼石)
특정의 산지에서 나온 돌이 아니다. 그 모암이 백색의 석회 혹은 석영의 류조가 관입(實入)된 것을 말한다. 흰 부분이 파랑(波浪)과 같고 주로 갯바위체의 관상 비교에 많이 쓰인다. 용아석(龍牙石) 용화석(龍華石)이라고도 함.

연봉형
원산형의 일태 고봉체가 아닌 수개의 산봉우리가 연 달아 산맥을 이룬 돌.

영백석
특정의 산지에서 나온 돌이 아니다. 그 모암이 백색의 석회 혹은 석영의 류조가 관입(實入)된 것을 말한다. 흰 부분이 파랑(波浪)과 같고 주로 갯바위체의 관상 비교에 많이 쓰인다. 용아석(龍牙石) 용화석(龍華石)이라고도 함.

자연석
천연 그대로의 돌

자구래(蛇崩 일어)
석면에 뱀이 지나간 흔적을 말한다. 움푹 파진 쭈굴쭈굴한 조리가 뻗어나온 돌.


미원장의 돌의 사칙 중 하나다. 석면이 평면적 피부가 아닌 살주름이 나온 변화가 있고, 힘찬 조리가 새겨진 풍정이 있어야 된다는 돌의 주름에 관한 미의 감각을 설파한 설의 일부.

진석(珍石)
돌 형태가 희귀한 것. 물론 색, 질도 포함된다. 석질의 희소성이 강조되며 기석과 의미를 같이한다. 그러나 기석 보다 진석이 좌우(座右)에 있어서 애완되는 뉘앙스를 가진다.

절단석(切斷石)
앉임새가 나빠 돌의 저부를 절단한 것을 말한다.

조형석(造形石)
인공석과 같은 뜻. 화문석 특히 해바라기 꽃 화판(花瓣)의 중심부를 파고 넣어 교묘하게 조작한 돌. 폭포석도 동일한 수법이 많다.

저부(底部)
수석관상에서 돌 밑부분의 앉은자리를 말한다. 수석의 중대한 요소 중 하나다.

진흑석(眞黑石)
산지를 고사하고 색감이 묵흑색(壘黑石)이며 질이 견고하여 수석의 최고 숭상을 받는 돌. 수석의 보도는 이 진흑석에 었다. 석질구성은 변성작용을 받은 점판암(粘板岩)과 흑색규질혈암(黑色珪質頁岩)등이다.


추상석(抽象石) Choosangseok.
구체적으로 산 혹은 초가집 갯바위등과 같은 정경(情景)이 연상되지 않으면서도 무엇인가 자연의 조형미가 성큼 마음에 다가오는 느낌을 주는 돌. 다시 말을 하자면“오브제”적인 아름다운 추상적 감명(感銘)을 주는 돌이다.

철환석(鐵丸石)
광물상으로 니철광(泥鐵鑛)이라 불리우는 회갈색의 녹을 지닌 살갗을 가지고 대개 많은 타원형을 이루고 있다. 속돌을 연마하면 견고하고 검은 탐스런 색을 발산한다.

천단(天端)
토파석의 경우 상면(上面)을 천단이라 한다. 천단은 수평일수록 좋다.

천지(天地)
수석의 높이를 잴때 천지가 몇cm이라 부른다. 천은 상, 지는 하, 양면을 좌우(左右) 라한다.

첨배(添配)
수석의 높이를 잴때 천지가 몇cm이라 부른다. 천은 상, 지는 하, 양면을 좌우(左右) 라한다. 수석의 경을 한층높이기 위하여 배, 등대, 학, 거북, 낚시질하는 소도구의 경물(景物)같은 첨경소도구(流景小道具)를 말한다. 일본수석계에서는 성행하고 있으나 수석정경을 외소 할 수 있고 수석본래의 아취성을 상실하는 경우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촌석(寸石)
조그만 소품수석이라고도 한다. 담배갑 정도의 크기.

탐석(探石)
채석과 같은 의미로 탐석은 넓은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즉 탐석은 문자 그대로 산하에서 자채하는 것이나 후자는 농가의 마당구석에서 찾아 입수한 경우에서 흔히 사용된다.

태석
수석과 상관없는 아리송한 돌

토파(土城)
수석형의 일태 석면이 팽팽하여 평야를 연상시킨 돌 물론 어느쪽 일방에 산과언덕이 있어 평야가 넓게 퍼져 있는 돌.

해석(海石)
바닷가에서 채석한 돌. 해중에서 나온 돌. 해진 흑석도 양질의 수석감으로 애완되고 있다.

형상석(形象石)
돌의 모양이 자연스럽게 조류 인상(人像) 주로 성인군자를 닮은 돌, 초가집, 나룻배, 짐승, 달 등.

현병
연마하여 병풍과 같이 세워 국화석 기타 문양석을 절단하여 관상하는 돌. 옛날 중국 송대에 문인묵객들이 벼루후면에 자그만 돌을 놓고 기상문사의 위안으로 현산이라 했다.

호피석(虎皮石)
점판암과 차트가 흰 비단과 같은 호상(縞狀)이 덮여 퇴적하여 접촉변질을 받아 생긴 돌이다. 대개 흑과 황갈색이 호충(互層)을 이뤄 호피와 같은 색깔을 지닌 까닭에 이와 같은 명칭이 나온 것이다. 백호, 흑호, 란호피(亂虎皮)의 세 가지가 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